냉시피 프로젝트는 대부분의 기능을 HTTP API로 제공합니다. HTTP를 사용해서 서로 정해둔 스펙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통신하는 것으로도 충분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저희는 주니어 개발자로 REST API의 4가지 제약 조건을 완벽히 구현하여 RESTful API를 구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고, 개발자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판단을 했습니다.
HTTP API와 REST API는 현직에서 거의 같은 의미로 사용되기는 하지만, 개발을 차근차근 배워나가는 입장에서 둘 간의 차이를 명확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에 대해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그런 REST API로 괜찮은가”라는 레퍼런스를 추천드립니다.
API 요청 형식은 *‘application/json’*으로 제한합니다. 이때 application 대신에 app으로 줄여서 씁니다.
성공/실패 여부는 HTTP 상태코드를 통해 제공합니다. 상태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aside> 🛠️ 200번대 : 성공
300번대 : 리다이렉트
400번대 : 클라이언트 오류(request error)
500번대 : 서버 오류
</aside>
• 비정상 호출: HTTP 상태 코드는 400번대와 500번대이며, 각 API별로 지정된 오류 코드와 오류 메시지를 반환받습니다.